진돗개(Jindo dog)의 특징 및 키울 시 알아야 하는 점
- 애완동물 정보/댕이
- 2022. 7. 17.
진돗개 소개 및 역사
이번 시간에는 우리나라의 대표 반려견인 진돗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도견 혹은 진돗개 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53호로 1937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천연기념물로 처음 지정받은 우리나라 대표 반려견으로 황색인 진돗개만 인정된다고 합니다. 이후에도 꾸준히 한국 진돗개 보존육성법이 제정되어 혈통을 이어 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2005년도에 커넬 클럽과 세계 애견연맹에서 정식으로 견종을 인정받았습니다. 이와 같은 명성이 있다 보니 진도 섬에서 외부로 진돗개가 나갈 때는 진도군청의 허가가 필요할 정도로 특별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야생성이 매우 남아있어 실내에서 키우기보다는 야외에서 키우기 좋은 견종이며 보호자에 대한 충성심이 남달라 훈련을 잘 시킨다면 초보 보호자도 기르기 좋은 견종입니다. 가장 좋은 예시로는 미국에서 진돗개를 경찰견으로 훈련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한명의 보호자에게만 충성심이 너무 강해 다른 트레이너로 바뀔 경우 훈련이 어려워 경찰견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확정을 받았습니다. 진돗개는 중형견으로 분류되며 꼬리는 몸통을 향해 위쪽으로 말려있고 귀는 삼각형 형태로 반듯하게 서 있습니다.
진돗개의 색은 하얀색, 회색, 검은색, 호랑이 색, 황색으로 총 다섯 가지로 알려져 있으며 성견의 키는 수컷의 경우 48cm에서 50cm, 암컷의 경우 45cm에서 50cm입니다. 수컷의 몸무게는 18kg에서 27 kg 정도 이며 암컷의 몸무게는 15kg에서 24 kg 정도 입니다. 수명은 대략 14년 정도이며 대략 1년에 2번의 털갈이를 하는데, 털이 자주 빠지는 견종이라 지속적인 빗질이 필요합니다. 진돗개는 북한의 풍산개와도 많이 닮아 자주 언급되고 있는데, 풍산개는 진돗개보다 체구가 크고 삼각형의 귀가 서 있거나 늘어져 있지만 진돗개는 항상 서 있다는 점이 큰 차이입니다.
진돗개 키우기
청결하고 깔끔한 것을 좋아하는 진돗개는 사회화 교육만 잘 습득했다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습성 때문에 실내보다는 실외에서 배변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려견을 기르는 집 같지 않게 배변 냄새가 잘 나지 않으며 활동량이 많고 똑똑한 견종이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아 훈련 시 명령어를 습득하거나 주어진 임무를 잘 이해하며 씹는 것을 좋아해 씹을 것을 장난감으로 주지 않으면 집 안에 있는 물건들을 물어뜯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돗개는 운동과 산책으로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활동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알지 못하는 사람이나 다른 견종을 향해 짖거나 물려고 할 수도 있어 스트레스와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해외 견종들이 유입되는 일이 없어서 원산지인 대한민국 진도군에서 자연스러운 교배로 개체수가 드러난 견종이며 전쟁 시 군견 암컷과 늑대가 교배하여 나왔다는 설과 중국에서 건너왔다는 설, 그리고 전쟁에 참여한 몽골 기병대가 데리고 다녔다는 설 등 여러 가설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진돗개는 오래전부터 사람과 함께 했던 반려견입니다.
사람과 가까운 견종이다 보니 현대 사회에서도 수차례의 사고가 발생했었는데, 대부분이 묶어 키우다 보니 스트레스를 감당하지 못해 생긴 일이며 사람과 가깝다고 해서 반려견 한 마리가 전 인류와 가까운 것이 아닌 보호자와 가깝다는 뜻이므로 아기가 있을 경우는 가까이 가지 못하게 하거나 다른 곳에 위탁이 필요하고 산책 시에는 다가오려는 낯선 사람을 공격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항상 입마개를 씌워주어야 합니다. 이는 과거 사냥견이었던 진돗개가 자신보다 약한 상대를 구별하여 공격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피해자는 아기, 노약자, 어린이로 확인됩니다.
다른 견종에 비해 만성질환이나 유전병이 적은 편으로 반려견에 대한 보호자의 유전병 걱정이 굉장히 낮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내보다는 야외에서 키우는 것이 바람직한데, 단순히 배변 문제 뿐만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는 마당 있는 가구보다 아파트나 일반 좁은 주택에 사는 가구가 많다 보니 진돗개의 공격성에 의한 잦은 짖음과 중형견의 몸집을 이유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반려견인 것과는 별개로 입양률은 굉장히 저조한 편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진돗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애완동물 정보 > 댕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메라니안 (Pomeranian)의 특징 및 유전병 등 키울 시 주의해야 하는 사항 (0) | 2022.07.18 |
---|---|
시츄(Shihtzu)의 특징과 식분증 (0) | 2022.07.17 |
말티즈(Maltese)의 특징 및 질병 (0) | 2022.07.17 |
똑똑하고 우아한 반려견, 푸들(Poodle) (0) | 2022.07.16 |
늑대 아닙니다,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 (0) | 2022.07.16 |